-
목차
2025년 출산지원금, 지역별로 다릅니다!
출산을 하면 정부의 첫만남이용권(200만 원) 외에도,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별도로 출산축하금 또는 출산장려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. 문제는 이 금액이 지역마다 천차만별이라는 점이죠.
내가 사는 동네는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지금 확인해보세요! 아래에서 지역별 차이표도 제공됩니다 👇
출산지원금이란?
출산지원금은 지자체가 자체 예산으로 지원하는 현금 또는 바우처입니다. 신청만 하면 받는 경우도 있지만, 일부 지역은 출생신고 후 따로 신청해야 받을 수 있어요.
어디가 많이 주나요?
일반적으로 지방일수록 지원금이 높고 기간도 깁니다.
특히 저출산 인구 감소가 심각한 농촌 지역에서는 첫째 200만 원, 셋째 이상 1,000만 원 이상 지급되기도 해요.출산지원금 지역별 비교
지역 첫째 아이 셋째 아이 이상 비고 서울시 0~100만 원 100~300만 원 구별 차이 있음 경기도 100~200만 원 200~500만 원 시·군별 예산 차이 전남 해남군 300만 원 1,500만 원 이상 전국 최고 수준 충북 옥천군 200만 원 1,000만 원 다자녀 우대 제주특별자치도 100만 원 300만 원 2025년 예산 증가 예정 보다 상세한 정보는 해당 시·군·구청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출산축하금 신청 방법
- 신청처: 거주지 주민센터 또는 지자체 복지 포털
- 신청 기간: 출생신고 후 30일~60일 이내(지역별 차이 있음)
- 필요 서류: 출생증명서, 통장사본, 신분증
주의사항 및 체크포인트
- 지자체 이전 시 지원 불가한 경우 있음
- 출생신고가 선행되어야 함
- 자동 지급 아님 → 반드시 신청!
아래에서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 확인해보세요 👇
👣 관련 링크 및 추천 글
다음 글에서는 '육아휴직 급여'를 상세히 소개합니다. 부부가 함께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시다면 꼭 확인해보세요!
'생활정보 > 정부 정책 & 복지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부 혜택, 앱으로 바로 받자! 육아 지원 앱 총정리 (0) 2025.04.13 어린이집 보내면 월 얼마 지원받나요? 보육료 완전 정리 (0) 2025.04.12 생애초기 건강지원 서비스 총정리 (신생아~2세까지) (0) 2025.04.11 육아휴직 급여, 부부가 함께 받으면 얼마까지 가능할까? (0) 2025.04.10 2025년 첫만남이용권 사용처·신청법 총정리 (1) 2025.04.08 2025년 출산·육아 정책, 어떤 혜택 받을 수 있을까? (0) 2025.04.07 1인 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⑩ -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1인 가구를 위한 복지제도 (0) 2025.04.06 1인 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⑨ - 의료비 부담 줄이기! 1인 가구를 위한 건강검진·의료비 지원 제도 (2) 2025.04.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