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목차
혼자 사는 중장년, 고령 1인가구가 증가하면서 정부는 다양한 주거복지 정책을 운영하고 있어요. 주거급여, 공공임대, 전세자금 대출 등 나이와 소득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복지 제도를 지금부터 정리해드립니다.
📌 주거급여 – 임차료 또는 주택 수선 지원
주거급여는 기준 중위소득 이하의 가구에 월 임차료 또는 주택 수선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고령자나 중장년 1인가구의 경우, 자가주택일 경우에는 ‘수선유지급여’로 집수리 지원도 받을 수 있습니다.
👉 집이 낡았다면 신청 가능한지 꼭 확인해보세요.
🏠 공공임대주택 – 저렴한 임대료로 평생 거주
영구임대, 국민임대, 행복주택 등 다양한 공공임대 유형이 있습니다. 저소득 고령자,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보증금과 월세가 매우 저렴한 공공주택을 제공하고 있어요.
- ✔ 영구임대주택: 기초생활수급자 등 대상
- ✔ 국민임대: 소득·자산 기준 만족 시 신청 가능
- ✔ 행복주택: 신혼·고령·사회초년 대상 다양화
💡 월세가 5만 원대인 곳도 있어요. 기회가 있을 때 신청해보세요.
💸 전세자금 대출 & 이자 지원 – 지자체별 조건 확인
중장년 1인가구도 주거안정 월세대출 또는 버팀목 전세대출 등의 저금리 상품 이용이 가능합니다. 일부 지자체는 이자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어 이자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어요.
✔ 예: 서울시, 경기도, 인천 등 – 무이자 or 연 1~2% 이자지원
👉 지역 주거복지센터나 복지포털에서 확인해보세요.
🧾 주요 제도 비교 요약
제도명 대상 지원내용 주거급여 중위소득 47% 이하 임차료 또는 자가주택 수선비 공공임대주택 저소득층, 고령자, 중장년 보증금+임대료 저렴 / 장기거주 가능 전세자금 대출 무주택자 / 소득 조건 만족 저금리 전세대출 + 이자 일부 지원 🎯 꼭 확인해야 할 사이트
📝 내 조건에 맞는 정책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.
📌 다음 편 예고
4편에서는 지역별 주거정책 차이와 신청 요령에 대해 정리할 예정입니다. 살고 있는 곳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해보세요!
'생활정보 > 정부 정책 & 복지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인 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⑨ - 의료비 부담 줄이기! 1인 가구를 위한 건강검진·의료비 지원 제도 (2) 2025.04.05 1인 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⑧ - 무직자·비정규직을 위한 긴급복지 및 생활비 지원 제도 (0) 2025.04.04 1인 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⑦ - 공공임대주택 신청 방법 & 자주 묻는 질문 총정리 (0) 2025.04.04 1인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⑥ - 전·월세 지원 정책 총정리: 대출부터 이자 지원까지 (0) 2025.04.03 1인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⑤ - 주거급여 신청 조건과 기준 중위소득 해석법 (0) 2025.04.02 1인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④ - 지역별 주거정책 차이와 신청 요령 (0) 2025.04.01 1인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② -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주거복지 제도 (0) 2025.03.30 1인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① - 혼자 살아도 든든하게, 주거정책 총정리 (0) 2025.03.2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