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목차
혼자 살면서 가장 걱정되는 지출 중 하나, 바로 의료비입니다. 특히 1인 가구는 건강검진을 놓치거나, 병원비 부담 때문에 치료를 미루는 경우도 많은데요. 이번 글에서는 의료비를 아낄 수 있는 정부 지원 제도를 정리해 드립니다.
🩺 국가건강검진, 꼭 챙기세요!
20세 이상 성인이라면 2년마다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일반건강검진: 혈압, 혈당, 간기능 등 기본 검사 포함
- 암검진 포함: 위암, 대장암, 유방암, 자궁경부암 등 연령별 제공
- 1인 가구도 자동 대상: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또는 직장가입자 중 일정 조건 충족 시
💊 재난적 의료비 지원 제도
의료비가 소득 대비 과도하게 발생한 경우 건강보험에서 일부 금액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.
- 지원 대상: 건강보험 가입자 중 연간 소득 대비 15% 이상 의료비 지출자
- 지원 항목: 입원비, 중증질환 수술비, 중환자 진료비 등
- 지원 금액: 연간 최대 2,000만 원까지
🏥 차상위·저소득층 본인부담 경감
차상위계층 및 기초생활수급자는 병원 진료비의 본인부담금 일부를 경감받을 수 있습니다.
- 의원·병원 외래진료 시 진찰료, 검사비의 10~20% 수준만 부담
- 약국 조제 시 본인부담금도 경감
👉 해당 여부는 주민센터 또는 건강보험공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👀 1인 가구 대상 무료 건강검진 프로그램 (지자체별)
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청년·중장년 1인 가구를 위한 무료 건강검진을 따로 운영합니다.
- 서울시 1인가구 건강검진: 정신건강, 대사증후군 등 포괄검진
- 부산·광주 등 지자체: 만성질환 선별검사 등 지역별 지원
📎 각 시·군·구청 홈페이지에서 '건강검진' 또는 '1인가구 복지'로 검색해보세요.
📝 신청 방법
- 국가건강검진: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우편 및 문자로 안내
- 재난적의료비, 본인부담경감: 병원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문의
- 지자체 무료검진: 각 구청 또는 보건소 홈페이지 신청
📌 건강검진을 놓치지 말고, 의료비 부담은 줄여보세요! 국민건강보험공단 바로가기
※ 본 글은 2025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, 지자체별 시행 여부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.
'생활정보 > 정부 정책 & 복지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출산하면 얼마 받을까? 출산지원금 총정리 (2025 최신) (0) 2025.04.09 2025년 첫만남이용권 사용처·신청법 총정리 (1) 2025.04.08 2025년 출산·육아 정책, 어떤 혜택 받을 수 있을까? (0) 2025.04.07 1인 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⑩ -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1인 가구를 위한 복지제도 (0) 2025.04.06 1인 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⑧ - 무직자·비정규직을 위한 긴급복지 및 생활비 지원 제도 (0) 2025.04.04 1인 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⑦ - 공공임대주택 신청 방법 & 자주 묻는 질문 총정리 (0) 2025.04.04 1인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⑥ - 전·월세 지원 정책 총정리: 대출부터 이자 지원까지 (0) 2025.04.03 1인가구 복지정책 시리즈 ⑤ - 주거급여 신청 조건과 기준 중위소득 해석법 (0) 2025.04.02